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워드앱
- 앱테크
- clone
- docker network
- codecommit
- 하나머니
- built-in
- 실사용
- 재테크
- MongoEngine
- 도커
- network
- mininet
- 후기
- DocumentDB
- 포인트앱
- 커피머니불리기
- aws codecommit
- 토스카드
- MongoDB
- python3
- Linux
- AWS
- 리뷰
- namespace
- S3
- Python
- VPC
- docker
- Container
- Today
- Total
목록AWS (18)
ㅍㅍㅋㄷ
AWS Glacier? Glacier는 아카이브 백업 데이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얼핏 보면 S3와 비슷한 것 같지만 서비스 목적이 다르다. Glacier 라는 뜻 자체가 "빙하" 인것 만 봐도 이 서비스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느낌이 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본격 레알 cold data를 위한 서비스 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까? 보통 서비스를 운영할 때, 해당 서비스의 데이터들을 일정 주기로 어딘가에 백업을 하게 된다. 아주 예전에는 주로 마그네틱 테이프에 저장하고 이 테잎을 어딘가에 차곡차곡 쌓아 놓곤 했다. 그리곤 이 데이터는 굳이 찾아 볼 일은 없다. 하지만 이 데이터를 찾아보는 순간이 찾아 온다면, 그건 굉장히 안타까운 경우일 것이다. 서비스가 완전히 무너져 눈물의 복구를 ..
Github 에서 CodeCommit 으로 마이그레이션 해보자 CodeCommit 은 AWS가 출시한 Private git repository 서비스 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 * AWS CodeCommit 어렵지 않아요 만약 회사의 인프라가 AWS 기반으로 운영된다면 CodeCommit은 소스 관리 툴로서 나름 적절한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기존 사용하던 사내 git 서버 (또는 github) 에서 CodeCommit 으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CodeCommit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은 해당 링크에서 참고 : AWS CodeCommit 어렵지 않아요 1. 기존 git repository 와 동일한 이름으로 CodeCommit에 repository를 생성한다. ..
AWS CodeCommit AWS에서 출시한 서비스 중 하나이며, 개발자를 위한 코드 관리 서비스이다. 간단히 이야기 하면, Private git repository 서비스이다. 동작 방식은 git과 동일하다. 특별할 건 없다. 따로 git 서버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고를 AWS 에게 맡기는 것 뿐이다. codecommit은 사용자가 올린 소스를 s3에 암호화 해서 저장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매우 높고 용량 걱정도 필요 없다. 또한 s3에 저장할때도 AWS의 KMS를 통해 암호화해서 저장하며, AWS의 IAM 인증을 통해 push/pull 에 대한 권한 관리가 가능하다. 가격 정책도 매우 좋은편. IAM에서 codecommit을 이용하는 user를 기준으로 5명 이하는 무료. 5명 이상일 경우 추가 1명당 ..
AWS Storage Gateway 이게 뭔지는 지난 포스트에 설명 했으니 참고 ( AWS Storage Gateway ) 일단 Storage Gateway 설치를 해보자.ㅎ 참고로 이 포스트에서 설치할 타입은 Gateway-Cached volumes 방식 이며, appliance를 올릴 인프라가 따로 없는 관계로, 그냥 EC2에 올릴 예정이다. 메뉴에서 Storage Gateway를 선택-Hybrid Storage Integration 이라고 멋지게 써 있다. (캬-) 클릭하면 gateway를 관리할 수 있는 console 화면이 뜬다. (점점 AWS는 IaaS를 넘어 PaaS와 SaaS 형태로 진화하는 느낌이다.) Deploy a new Gateway on Amazon EC2 클릭! EC2에 배포하겠..
AWS Storage Gateway 개인적으로 S3는 AWS 라인업중 가장 뛰어난 제품중 하나라고 생각한다.특히 S3의 안정성과 확장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백업이나 데이터 저장용으로는 최적이다. 하지만, S3는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 방식이 아닌 object 기반이고, REST/HTTP 기반의 통신이기 때문에 속도나 사용성 면에서는 익숙하지 않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서비스로 오픈한 것이 바로 Storage Gateway 이다. Storage Gateway의 가장 큰 특징은, S3를 기존 스토리지 엔지니어에게 익숙한 방식 중 하나인 iSCSI 방식으로 제공해 준다는 것이다. 클라우드가 아닌 기존 사내 인프라 환경에, S3의 장점인 안정성과 확장성 높은 데이터 저장 ..
goofys를 이용해 AWS S3 mount 해서 사용하기 S3는 AWS 라인업 중 가장 유용한 서비스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S3 자체가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과는 좀 다른 object 기반이기도 하고 REST http 기반이다 보니 사용성에서 약간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Storage Gateway 라는 서비스도 출시하며, S3를 iscsi 형태로 제공하도록 appliance를 직접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Storage Gateway를 설정하여 사용하려면, Local IDC 환경 또는 AWS에 Gateway appliance 를 VM형태로 올려야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들고 간단히 사용하기엔 번거롭기도 하다. 이때 간단한 해결책으로 S3를 filesystem 처럼 moun..
s3fs를 이용해 AWS S3 mount 해서 사용하기 S3는 AWS 라인업 중 가장 유용한 서비스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S3 자체가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과는 좀 다른 object 기반이기도 하고 REST http 기반이다 보니 사용성에서 약간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Storage Gateway 라는 서비스도 출시하며, S3를 iscsi 형태로 제공하도록 appliance를 직접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Storage Gateway를 설정하여 사용하려면, Local IDC 환경 또는 AWS에 Gateway appliance 를 VM형태로 올려야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들고 간단히 사용하기엔 번거롭기도 하다. 이때 간단한 해결책으로 S3를 filesystem 처럼 mount ..
OTP 방식을 적용한 AWS 콘솔 접속 - AWS MFA ( Multi-Factor Authentication ) AWS 의 Management Console 접속의 기본 방법은 ID/Passowrd 기반의 인증이다.그러나 만약 AWS 콘솔 계정 정보가 누군가에 의해 유출된다면?내 계정에서 생성한 Instance나 각종 서비스가 마음대로 삭제될수도 있고, 또 내가 모르는 사이에 누군가가 각종 서비스들을 내 계정에 마음대로 생성하여 사용료가 부과 될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것을 방지 하기 위해 IAM을 통해 계정을 권한별로 분리 하고 관리 하여야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ID와 Password 인증 방식 자체의 취약점은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AWS 콘솔 접속에 대한 인증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