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decommit
- 도커
- namespace
- 토스카드
- network
- docker
- DocumentDB
- MongoEngine
- mininet
- 실사용
- 재테크
- 후기
- docker network
- S3
- 하나머니
- python3
- 리뷰
- Linux
- AWS
- clone
- MongoDB
- VPC
- aws codecommit
- 포인트앱
- 앱테크
- 커피머니불리기
- Container
- Python
- built-in
- 리워드앱
- Today
- Total
목록glacier (2)
ㅍㅍㅋㄷ
AWS S3 에서 Glacier 로 자동 백업 Glacier는 아카이브 백업 저장을 주목적으로 하는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단순히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보관할 목적이라면 S3 보다 Glaicer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여기서는 S3에 있는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Glacier로 옮기도록 설정하는 법을 알아보자. 매우 간단하다. 1. Management console 에서 S3에 접속 2. Glacier 로 백업할 bucket을 선택 후 properties 선택 3. Lifecycle 선택 후 Add rule 버튼 클릭 4. Rule target 지정 최소 단위는 bucket 이며 bucket 내 folder 별로도 지정 가능하다. 5. Rule 설정 Archive to the Glacier stor..
AWS Glacier? Glacier는 아카이브 백업 데이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얼핏 보면 S3와 비슷한 것 같지만 서비스 목적이 다르다. Glacier 라는 뜻 자체가 "빙하" 인것 만 봐도 이 서비스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느낌이 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본격 레알 cold data를 위한 서비스 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까? 보통 서비스를 운영할 때, 해당 서비스의 데이터들을 일정 주기로 어딘가에 백업을 하게 된다. 아주 예전에는 주로 마그네틱 테이프에 저장하고 이 테잎을 어딘가에 차곡차곡 쌓아 놓곤 했다. 그리곤 이 데이터는 굳이 찾아 볼 일은 없다. 하지만 이 데이터를 찾아보는 순간이 찾아 온다면, 그건 굉장히 안타까운 경우일 것이다. 서비스가 완전히 무너져 눈물의 복구를 ..